[Tableau] 태블로 신병훈련소 17기 9일차
✏️ 9일차
📖 9일차 학습 안내
- 시각적 분석 모범 사례 (best practice)
- 모범 사례를 통한 대시보드와 차트 개선해 보고 서버(혹은 온라인)에 게시하여 공유하기
💡 비주얼 분석 가이드북
- 효과적인 시각화를 작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이미 작성된 시각화에 대한 점검 방법 가이드
- 질문으로 시작하기 (Start with questions)
- 적합한 차트 유형 선택 (Choose the right chart type)
- 효과적인 뷰 만들기 (Create effective views)
- 총체적인 대시보드 디자인 (Create holistic dashboards)
- 작업을 완벽하게 (Perfect your views)
- Visualization 에는 목적이 있어야 하며, 해당 목적을 이행하기 위해 포함할 내용을 잘 선별해야 함
- 시간 경과에 따른 트렌드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Visualization은 라인 차트, 영역 차트 및 막대차트
- 간단한 상관관계 분석은 측정값 간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좋은 시작점이 되지만, 상관관계가 반드시 관계를 보장하는 것은 아님 주의
- 분포 분석에 효과적인 차트: 상자 그림(Box Plot), 히스토그램(Histogram)
- 상자 그림(Box Plot)은 다중 분포를 표현하기에 적합
- 히스토그램(Histogram)의 막대에 범주별로 색상을 적용하면 다중 범주에 속하는 범주 파악 가능
- 부분-전체 분석
- 일반적으로 파이 차트(Pie Chart)가 사용되지만, 아래와 같은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
- 영역을 통한 예측이 쉽지 않음
- 서로 인접한 조각만 비교 가능 (크기에 대한 전체적인 비교가 어려움)
- 막대차트를 통해 구성비율(100% 중 해당 범주가 차지하는 비율)을 살펴보면 차이를 더 쉽게 알 수 있음
- 일반적으로 파이 차트(Pie Chart)가 사용되지만, 아래와 같은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
- 불릿 차트: 막대 차트를 참조 라인과 결합하여 실제 수치와 목표 수치를 시각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비교
- 상호 작용 뷰의 경우, 스토리를 안내하고, 사용자 탐색을 권장하거나, 모두 함께 보여주기에 너무 많은 세부 사항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
💡 Dashboards Best Practices
- 효율적인 대시보드란?
Fast
,Flexible
,Simple
- 가장 중요한 정보는 대시보드의 상단 또는 왼쪽 상단에 위치
- 상호작용 기능 제공
- 한눈에 확인: No Scroll!
- 레이블은 필요할 때만 사용
- 타이틀 아래 사용방법 소개
- 하나의 대시보드에는 5개 이하의 뷰를 포함
- 뷰 가까운 곳에 범례 표시
- 일관성 있는 색상
- 도구 설명 활용
✏️ 9일차 과제
시각적 분석 베스트 프랙티스 적용
- 사용 Data: Johns Hopkins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코로나19 확진자 및 사망자 통계 중 일부 국가 데이터 발췌
최종결과 🌈
-
대시보드 살펴보기
- 위 차트가 아래 세 가지 질문에 대해 답을 구할 수 있도록 시각화되었는지 확인
- 각 국가별 확진자 및 사망자 수는 얼마나 되는가? 어느 나라가 더 많은가?
- 각 지역(대륙)별 확진자 분포는 어떠하며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
- 각 국가별로 확진자는 증가세인가 감소세인가?
- 위 차트가 아래 세 가지 질문에 대해 답을 구할 수 있도록 시각화되었는지 확인
- [확진자 순위], [사망자 순위] 시트 개선
- 원 목적: 국가별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순서대로 나열하고 비교
- 현 차트의 경우 국가별 비중을 보기에 좋은 차트이나, 전세계의 모든 국가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‘비중’이 의미가 없음
- 사용 시트를 [국가별 발생 건수] 시트로 변경
- 막대 차트가 순서대로 나열하고 값을 비교하기에 효과적
- 뷰 표시 공간의 가로폭이 상대적으로 좁으므로 막대 모양을 가로 막대로 표현
- 국가별 확진자와 사망자를 위 아래 나란히가 아닌, 두 측정값이 좌우로 나란히 표시
- 지능형 축을 만들지 않으면 그냥 예쁜 직사각형만 남음
- 4에서 만든 두개의 막대 차트를 ‘각 행 또는 열에 독립적인 축 범위’를 지정을 통해 각각 크기가 대비대도록 표현
- [지역별 분포] 시트 개선
- 원 목적: 각 지역(대륙)별 확진자 분포와 특징을 확인
- 현 차트의 경우, Map에 의해 국가가 이미 나뉘어 있기 때문에 색상으로 다시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음
- 치명율(Case fatality rate)을 뜻하는 CFR 필드로 색상 구분
- [일자별 확진자 및 사망자 수] 시트 개선
- 원 목적: 국가별 확진자 및 사망자 수가 증가세인지 감소세인지 확인
- 시간의 경과에 따른 트렌드
- 영역 차트는 개별 국가의 숫자보다는 전체 합의 트렌드가 강조되는 유형이므로 마크 유형을 라인으로 변경하여 개별 국가의 트렌드 확인
- 단일 뷰의 색상 및 모양 개수 제한
- 관심 국가들을 집합으로 설정 후 해당 국가에만 색상 지정
-
단, 모든 국가별 선은 모두 표시하되, 집합 외의 기타 국가들은 회색으로 표시
IF [관심국가(집합)] THEN [Country Region] ELSE '기타' END
- 공간이 부족하여 압축된 뷰
- ‘Select Metric’ 매개 변수와 ‘Metric Switcher’ 필드를 사용한 측정값 변환
- 측정값: Total Cases, New Cases
- Total Cases : 해당 일자까지의 누적 확진자 및 사망자 수
- New Cases : 해당 일자의 신규 확진자 및 사망자 수
- 각 라인의 마지막 점에만 레이블 표시
- 모든 레이블이 다 표시되는 경우 복잡성 증가
- 대시보드 개선
- 필터 검토
- 추가 하고 싶은 필터 작업(동작)이 있는가?
👉 ‘국가별 발생 건수’ 막대 클릭 > 다른 시트에 국가 필터가 적용되도록 설정 - 불필요한 필터 작업이 적용되어 있는가?
👉 ‘국가별 발생 건수’ 막대와 지도 간의 필터가 불필요해 보이므로 필터 작업(동작)의 대상 시트 조정하여 지도를 필터 대상에서 제외 - 필터 적용시 불필요한 필드가 전달되지 않는가?
- ‘국가별 발생 건수’ 막대를 클릭하여 필터 적용시 라인 차트의 Confirmed 혹은 Deaths 둘 중 하나만 남는 문제 발생
👉 필터 동작의 대상 필터 부분에서 국가 필드만 지정하여 막대를 선택할 때 선택한 국가로 라인 차트를 필터링하되 Confirmed와 Deaths 라인 둘 다 보이도록 수정
- ‘국가별 발생 건수’ 막대를 클릭하여 필터 적용시 라인 차트의 Confirmed 혹은 Deaths 둘 중 하나만 남는 문제 발생
- 추가 하고 싶은 필터 작업(동작)이 있는가?
- 강조 표시
- 선택한 국가를 다른 시트에서 하이라이트 되도록 수정
- 툴바의 하이라이트 버튼 > Country Region
- 툴팁 사용(Tooltip)
- 툴팁 내에 제공되는 정보 양식 수정
- 필터 검토
Leave a comment